스태그플레이션 (Stagflation) 개념 이해하기 - 경제 불황 속 왜 물가는 상승할까? < 경제 용어 알아보기 >

오늘은 경제 용어 중 하나인 스태그플레이션 (Stagflation) 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스태그플레이션 뜻과 개념을 이해하고, 무엇인지 같이 알아보자.



목차


스태그플레이션이란?

스태그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은 더욱더 심각한 경제위기 상황임을 알리는 단어를 뜻하며, 불경기(stagnation)인플레이션(inflation)합성어이다. 


스태그플레이션은 인플레이션, 그리고 디플레이션과는 또 다른 개념이다. 물론 비용 인상 인플레이션(Cost Push Inflation)이라고 해서 인플레이션의 일환으로 해석하기도 하지만 역시 일반적인 인플레이션과는 다르다는 것을 기반으로 한 해석이라고 볼수 있으며, 스태그플레이션은 총공급 감소로 인한 효과이다. 이러한 현상은 경제가 어려운 시기 더욱더 어렵게 되는 상황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스태그플레이션 발생 요인

스태그플레이션



학자들마다 의견이 분분하지만 스태그플레이션 발생 요인을 대표적으로 국제 원유 가격 등 수입 물가가 크게 오를 때 일어난다고 이야기한다. 

수입 물가가 오르면 기업들은 이익이 줄어들고, 손해를 보지 않으려고 제품 값을 높이게 된다. 그러나 가격이 올라가면 소비자들은 수요를 줄이게 되므로 결국엔 경기침체와 더불어 실업증가로 연결되는 현상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스태그플레이션 사례

스태그플레이션 - 미국, 영국

스태그플레이션



역사적으로 대표적인 스태그플레이션의 사례로 손꼽히는 내용을 살펴보자. 중동 전쟁으로 유가가 치솟으면서 일어난 1973년의 세계적인 불황인 시기가 있었는데, 그때 당시 유가는 73년 10월부터 불과 넉달 사이에 무료 4배나 올랐다.

이처럼 급격하게 유가가 치솟자 각종 제품 값도 덩달아 올랐으며, 채산성이 악화된 기업들의 도산이 줄을 이었다. 이로 인해 많은 노동자들이 일자리를 잃었으며, 물가까지 올라 더욱 힘든 생활을 했다.

대표적인 사례가 79년 2차 석유 파동에 따른 스태그플레이션을 이겨낸 미국과 영국이다. 당시의 미국 레이건 대통령과 영국의 대처 총리는 정부 지출을 줄이고 시장의 돈줄을 죄는 강력한 긴축정책을 폈다. 많은 기업들이 문을 닫고 실업자가 늘어나더라도 일단 물가를 잡아야 한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미국과 영국은 이와 함께 세금을 깎는 방법으로 기업들의 생산과 투자를 부추기는 방법을 썼으며, 소득이 높은 사람들은 세금을 적게 내는 만큼 소비를 늘였다.

이 때문에 레이건 대통령과 대처 총리는 부자와 빈곤층의 소득 격차를 더 벌였다는 비난도 받고 있지만, 미국과 영국은 스태그플레이션을 겪는 동안 경제의 체질을 강화시켜 오늘날 몰라보게 건강한 경제를 갖게 되었다.


스태그플레이션 - 대한민국

2011년 후반 우리나라도 스태그플레이션의 징후를 보였다. 경제성장률은 3%대에 머무는데 물가상승률은 매월 4%를 넘어섰기 때문이다. 그 때 당시 우리나라는 경기를 살리려는 성장위주의 정책을 취했기 때문에 물가가 올랐음에도 불구하고, 기준금리를 올리지 않아 물가가 더욱 크게 올라 서민들의 고통이 컸다.

스테그플레이션 내용 정리

스태그플레이션

경제학자들은 유가 등 수입물가가 오르는 것은 단기간 고생으로 그치지만 인플레 기대 심리로 임금과 땅값 등 기업들의 생산비용이 높아질 경우에 그에 대한 후유증이 오래갈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아직까지도 물가가 오르면 부동산 투자가 최고라는 인식이 남아 있어 스태그플레이션의 위험성이 높다고 보는 전문가들이 많다. 


스태그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은 그런 점에서 여전히 매우 풀기 어려운 난제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스태그플레이션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한 개인 또는 단체 혹은 집단에 의해서 이뤄질 수 있는 부분이 아니기 때문이다.


큰 범위에서의 정책과 제도 개혁과 혁신이 스태그플레이션을 해결 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 될 수 있으며, 스태그플레이션에는 만병통치약이 없다는 사실을 직시해야 한다. 그러나 국민 모두가 고통을 나누고 참고 견디겠다는 마음을 먹으면 스태그플레이션도 보약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